

자유학기제란?
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⋅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수업을 개선하고,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입니다. 2016년도에 전면적으로 시행되었으며 2018년도부터 희망학교를 중심으로 자유학년제로 확대되어 중학교 과정 1년 동안 운영됩니다.
- 자유학기 (중학교 1학년 2학기): 초⋅중등교육법 시행령(제44조 제3항, 제48조의2)에 따라 운영하는 학기
- 연계 자유학기(중학교 1학년 1학기) : 자유학기의 경험을 연계⋅확대하는 것으로 기존의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학교 여건에 맞게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하여 운영하는 학기
자유학기제 운영 절차
구분 | 교육과정편성 (학생중심 교육과정) |
교수 · 학습 방법 (참여와 활동 중심) |
평가 및 기재 (과정 중심 평가) |
---|---|---|---|
오전 |
교과
|
교과
|
교과
|
오후 |
자유학기 활동
|
자유학기 활동
|
자유학기 활동
|


교과수업 및 자유학기 활동은 어떻게 운영되나요?
자유학기제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학교생활은 크게 교과수업과 자유학기 활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오전에는 주로 국어, 영어, 수학, 사회, 과학, 기술, 가정, 체육, 도덕 등 교과 수업이 이루어집니다.
수업은 토론, 실험·실습, 프로젝트 학습 등 전 과정에 학생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더 실제적인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.
평가는 지속적인 관찰평가, 형성평가, 자기성찰평가, 포트폴리오 평가, 수행평가 등을 통해 꼭 배워야 하는 내용을 반드시 학습하는데 도움을 줍니다.
오후에는 주로 진로탐색 활동, 주제선택 활동, 예술 · 체육활동, 동아리 활동 등 자유학기 활동이 이루어집니다.
-
진로탐색 활동
진로검사, 초청 강연, 직업탐방, 일터 체험 등 적성과 소질을 탐색하여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운영됩니다. -
주제선택 활동
헌법, 경제 · 금융, 고전 토론, 체험수학, STEAM 과학 등 학생의 흥미, 관심사에 맞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깊이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-
예술 · 체육 활동
연극, 뮤지컬, 오케스트라, 디자인, 축구 등 다양하고 내실 있는 예술 · 체육 교육으로 학생의 소질과 잠재력을 찾아줍니다. -
동아리 활동
문예토론, 과학실험, 천체관측 등 학생들의 공통된 관심사를 기반으로 운영되며, 이를 통해 학생의 특기와 적성은 물론 자율적 문제해결력을 키워줍니다.
모두가 만족하는 자유학기제를 통해

학생은 자신의 미래를 위해 적성과 소질을 찾아가는 자기주도적 노력의 과정을, 교사는 조금 더 좋은 수업과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며 연구하는 과정을, 학부모는 학교를 믿고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수학문화도서관에서는 토론과 체험 중심의 전문 프로그램을 최고의 강사진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.
‘프로그램’ Category map
-
-
-
-
-
- 찾아가는 수꿈이 수학버스
- 수꿈이 수학버스 소개
- 교구소개
- 청학동에 간 수학버스
-